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는 국제 펜싱 연맹(FIE)이 주최하는 펜싱 대회로, 1921년 프랑스 파리에서 처음 개최되었다. 초기에는 유럽 선수권 대회로 시작하여 1937년 세계 선수권 대회로 명칭이 변경되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중단된 시기를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고 있다. 대회는 남녀 에페, 플뢰레, 사브르 종목으로 진행되며, 하계 올림픽 개최 연도에도 올림픽에서 열리지 않는 종목에 한해 대회가 열린다. 이탈리아는 총 371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가장 많은 메달을 기록했으며, 개인전에서는 이탈리아의 발렌티나 베찰리가 6개의 금메달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 201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2013년 헝가리에서 열린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는 101개국 827명의 선수가 참가하여 러시아와 이탈리아가 메달 순위에서 앞섰고, 대한민국은 남자 단체 사브르와 여자 개인 사브르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 2017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2017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는 플뢰레, 에페, 사브르 종목의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구성된 국제 대회로, 이탈리아가 종합 1위, 대한민국이 종합 3위를 차지했으며, 특히 대한민국 남자 사브르 단체팀이 금메달을 획득했다. - 192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
천황배 JFA 전일본 축구선수권대회는 1921년 시작되어 잉글랜드 FA컵을 모델로 한 일본 축구 협회 주최 토너먼트 대회이며, 우승팀에게 AFC 챔피언스리그 출전 자격이 주어진다. - 1921년 시작된 스포츠 행사 - 이탈리아 그랑프리
이탈리아 그랑프리는 1921년 시작되어 몬차 서킷을 중심으로 이탈리아 모터스포츠 역사와 함께한 F1 경주 대회로, 미하엘 슈마허와 루이스 해밀턴이 최다 우승 드라이버, 페라리가 최다 우승 컨스트럭터이다.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 |
---|---|
기본 정보 | |
![]() | |
주관 | 국제 펜싱 연맹 (FIE) |
첫 대회 | 1921 파리 |
최근 대회 | 2023 밀라노 |
다음 대회 | 2025 트빌리시 |
개최 주기 | 매년 |
공식 웹사이트 | 국제 펜싱 연맹 공식 웹사이트 |
대회 명칭 | |
영어 | World Fencing Championships |
프랑스어 | Les Championnats du monde d'escrime |
기타 | |
상태 | 진행 중 |
2. 역사
1921년 FIE는 프랑스 파리에서 최초의 국제 펜싱 선수권 대회를 개최하였다. 초기에는 유럽 선수권 대회(Championnats d'Europe)로 명명되었으며, FIE 회원국의 선수들만 참가할 수 있었다. 1937년, 이탈리아의 제안으로 대회 명칭이 세계 선수권 대회(Championnats du Monde)로 변경되었고, 이전의 유럽 선수권 대회도 소급 적용되었다.[1]
1936년 하계 올림픽 이후, 이탈리아의 베니토 무솔리니 정부는 올림픽 또는 세계 선수권 대회 우승자에게 국가적 인정과 특전을 제공했지만, 유럽 선수권 대회 우승자에게는 해당하지 않았다. 이에 이탈리아 펜싱 연맹은 FIE에 대회 명칭 변경을 요청했고, FIE는 이를 승인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 대회는 중단되었다.
1960년 이후에는 하계 올림픽 개최 연도를 제외하고 매년 개최되었다. 2000년부터는 올림픽 개최 연도에도 올림픽에서 열리지 않는 종목에 한해 대회가 열리고 있다.
2. 1. 종목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는 다음과 같은 종목으로 나뉜다.- 남자 에페: 1921년부터 시작되었다.
- * 1930년부터 남자 에페 단체전이 시작되었다.
- 남자 플뢰레: 1926년부터 시작되었다.
- * 1929년부터 남자 플뢰레 단체전이 시작되었다.
- 남자 사브르: 1922년부터 시작되었다.
- * 1930년부터 남자 사브르 단체전이 시작되었다.
- 여자 플뢰레: 1929년부터 시작되었다.
- * 1932년부터 여자 플뢰레 단체전이 시작되었다.
- 여자 에페: 1989년부터 시작되었다.
- * 1989년부터 여자 에페 단체전이 시작되었다.
- 여자 사브르: 1999년부터 시작되었다.
- * 1999년부터 여자 사브르 단체전이 시작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1939년부터 1946년까지는 대회가 개최되지 않았다.
3. 역대 개최지
wikitable
연도 | 개최지 |
1921 | 파리 |
1922 | 파리, 오스텐더 |
1923 | 헤이그 |
1924 | 오스텐더 |
1927 | 비시 |
1929 | 나폴리 |
1930 | 리에주 |
1931 | 비엔나 |
1932 | 코펜하겐 |
1933 | 부다페스트 |
1934 | 바르샤바 |
1935 | 로잔 |
1936 | 산레모 |
1937 | 파리 |
1938 | 피에슈탸니 |
1947 | 리스본 |
1948 | 헤이그 |
1949 | 카이로 |
1950 | 몬테카를로 |
1951 | 스톡홀름 |
1952 | 코펜하겐 |
1953 | 브뤼셀 |
1954 | 룩셈부르크 |
1955 | 로마 |
1956 | 런던 |
1957 | 파리 |
1958 | 필라델피아 |
1959 | 부다페스트 |
1961 | 토리노 |
1962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63 | 그단스크 |
1965 | 파리 |
1966 | 모스크바 |
1967 | 몬트리올 |
1969 | 아바나 |
1970 | 앙카라 |
1971 | 빈 |
1973 | 예테보리 |
1974 | 그르노블 |
1975 | 부다페스트 |
1977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78 | 함부르크 |
1979 | 멜버른 |
1981 | 클레르몽페랑 |
1982 | 로마 |
1983 | 빈 |
1985 | 바르셀로나 |
1986 | 소피아 |
1987 | 로잔 |
1988 | 오를레앙 |
1989 | 덴버 |
1990 | 리옹 |
1991 | 부다페스트 |
1992 | 아바나 |
1993 | 에센 |
1994 | 아테네 |
1995 | 헤이그 |
1997 | 케이프타운 |
1998 | 라쇼드퐁 |
1999 | 서울 |
2000 | 부다페스트 |
2001 | 님 |
2002 | 리스본 |
2003 | 아바나 |
2004 | 뉴욕 |
2005 | 라이프치히 |
2006 | 토리노 |
2007 | 상트페테르부르크 |
2008 | 베이징 |
2009 | 안탈리아 |
2010 | 파리 |
2011 | 카타니아 |
2012 | 키이우 |
2013 | 부다페스트 |
2014 | 카잔 |
2015 | 모스크바 |
2016 | 리우데자네이루 |
2017 | 라이프치히 |
2018 | 우시시 |
2019 | 부다페스트 |
2021 | 개최되지 않음 |
2022 | 카이로 |
2023 | 밀라노 |
3. 1. 대륙별 개최 횟수 (1921년 ~ 2023년)
1921년부터 2023년까지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의 대륙별 개최 횟수는 다음과 같다.대륙 | 개최 횟수 | 국가 |
---|---|---|
유럽 | 57 | 프랑스(12회), 이탈리아(8회), 헝가리(8회), 벨기에(5회), 오스트리아(3회), 독일(3회), 러시아(3회), 스위스(3회), 네덜란드(3회), 폴란드(2회), 스웨덴(2회), 튀르키예(2회), 덴마크(2회), 포르투갈(2회), 그리스, 룩셈부르크, 모나코, 불가리아, 스페인, 우크라이나, 체코슬로바키아, 영국 (각 1회) |
아메리카 | 8 | 미국(3회), 쿠바(3회), 아르헨티나(2회) |
아시아 | 3 | 중국(2회), 대한민국(1회) |
아프리카 | 2 | 이집트(2회) |
개최 횟수에서 나타나듯이, 유럽 국가들이 압도적으로 많은 대회를 개최했다.
3. 2. 연도별 개최지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의 연도별 개최지는 다음과 같다.연도 | 개최지 |
1921 | 파리 |
1922 | 파리, 오스텐더 |
1923 | 헤이그 |
1924 | 오스텐더 |
1927 | 비시 |
1929 | 나폴리 |
1930 | 리에주 |
1931 | 비엔나 |
1932 | 코펜하겐 |
1933 | 부다페스트 |
1934 | 바르샤바 |
1935 | 로잔 |
1936 | 산레모 |
1937 | 파리 |
1938 | 피에슈탸니 |
1947 | 리스본 |
1948 | 헤이그 |
1949 | 카이로 |
1950 | 몬테카를로 |
1951 | 스톡홀름 |
1952 | 코펜하겐 |
1953 | 브뤼셀 |
1954 | 룩셈부르크 |
1955 | 로마 |
1956 | 런던 |
1957 | 파리 |
1958 | 필라델피아 |
1959 | 부다페스트 |
1961 | 토리노 |
1962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63 | 그단스크 |
1965 | 파리 |
1966 | 모스크바 |
1967 | 몬트리올 |
1969 | 아바나 |
1970 | 앙카라 |
1971 | 빈 |
1973 | 예테보리 |
1974 | 그르노블 |
1975 | 부다페스트 |
1977 | 부에노스아이레스 |
1978 | 함부르크 |
1979 | 멜버른 |
1981 | 클레르몽페랑 |
1982 | 로마 |
1983 | 빈 |
1985 | 바르셀로나 |
1986 | 소피아 |
1987 | 로잔 |
1988 | 오를레앙 |
1989 | 덴버 |
1990 | 리옹 |
1991 | 부다페스트 |
1992 | 아바나 |
1993 | 에센 |
1994 | 아테네 |
1995 | 헤이그 |
1997 | 케이프타운 |
1998 | 라쇼드퐁 |
1999 | 서울 |
2000 | 부다페스트 |
2001 | 님 |
2002 | 리스본 |
2003 | 아바나 |
2004 | 뉴욕 |
2005 | 라이프치히 |
2006 | 토리노 |
2007 | 상트페테르부르크 |
2008 | 베이징 |
2009 | 안탈리아 |
2010 | 파리 |
2011 | 카타니아 |
2012 | 키이우 |
2013 | 부다페스트 |
2014 | 카잔 |
2015 | 모스크바 |
2016 | 리우데자네이루 |
2017 | 라이프치히 |
2018 | 우시시 |
2019 | 부다페스트 |
2022 | 카이로 |
2023 | 밀라노 |
개최 횟수별 국가는 다음과 같다.
개최 횟수 | 개최 국가 |
---|---|
12 | 프랑스 |
8 | 헝가리, 이탈리아 |
5 | 벨기에 |
3 | 오스트리아, 쿠바, 독일, 러시아, 미국 |
2 | 아르헨티나, 중국, 네덜란드, 이집트, 폴란드, 스위스, 스웨덴, 튀르키예 |
1 | 오스트레일리아, 브라질, 불가리아, 캐나다, 체코슬로바키아, 덴마크, 그리스, 룩셈부르크, 모나코, 포르투갈, 대한민국, 우크라이나, 스페인, 소련, 서독 |
4. 메달 집계
이 표는 202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이후에 최종 업데이트되었다. 이 표는 1921년 이후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을 집계한 것이며, 하계 올림픽 펜싱 경기의 결과는 포함하지 않는다.
순위 | 국가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이탈리아 | 122 | 112 | 137 | 371 |
2 | 프랑스 | 97 | 98 | 98 | 293 |
3 | 헝가리 | 96 | 87 | 95 | 278 |
4 | 소련 | 92 | 54 | 47 | 193 |
5 | 러시아 | 56 | 32 | 36 | 124 |
6 | 서독 | 25 | 26 | 16 | 67 |
7 | 독일 | 22 | 35 | 45 | 102 |
8 | 폴란드 | 18 | 29 | 42 | 89 |
9 | 루마니아 | 13 | 22 | 32 | 67 |
10 | 미국 | 12 | 16 | 18 | 46 |
11 | 우크라이나 | 12 | 12 | 20 | 44 |
12 | 대한민국 | 11 | 12 | 27 | 50 |
13 | 중화인민공화국 | 8 | 20 | 17 | 45 |
14 | 스웨덴 | 7 | 15 | 21 | 43 |
15 | 쿠바 | 6 | 5 | 9 | 20 |
16 | 에스토니아 | 5 | 6 | 6 | 17 |
17 | 덴마크 | 5 | 3 | 4 | 12 |
18 | 오스트리아 | 4 | 4 | 9 | 17 |
19 | 일본 | 4 | 2 | 8 | 14 |
20 | 영국 | 3 | 6 | 9 | 18 |
21 | 네덜란드 | 3 | 3 | 6 | 12 |
22 | 스위스 | 2 | 9 | 13 | 24 |
23 | 벨기에 | 2 | 4 | 11 | 17 |
24 | 스페인 | 2 | 2 | 7 | 11 |
25 | 아제르바이잔 | 2 | 2 | 4 | 8 |
26 | 불가리아 | 1 | 3 | 5 | 9 |
27 | 체코슬로바키아 | 1 | 3 | 1 | 5 |
28 | 노르웨이 | 1 | 0 | 1 | 2 |
29 | 브라질 | 1 | 0 | 0 | 1 |
30 | 베네수엘라 | 0 | 2 | 1 | 3 |
31 | 그리스 | 0 | 1 | 3 | 4 |
31 | 튀니지 | 0 | 1 | 3 | 4 |
33 | 벨라루스 | 0 | 1 | 2 | 3 |
33 | 캐나다 | 0 | 1 | 2 | 3 |
33 | 동독 | 0 | 1 | 2 | 3 |
36 | 조지아 | 0 | 1 | 1 | 2 |
37 | 포르투갈 | 0 | 1 | 0 | 1 |
38 | 이집트 | 0 | 0 | 8 | 8 |
39 | 홍콩 | 0 | 0 | 4 | 4 |
40 | 독립국가연합 | 0 | 0 | 1 | 1 |
40 | 콜롬비아 | 0 | 0 | 1 | 1 |
40 | 핀란드 | 0 | 0 | 1 | 1 |
40 | 이란 | 0 | 0 | 1 | 1 |
40 | 카자흐스탄 | 0 | 0 | 1 | 1 |
4. 1. 대한민국 메달 현황
4. 2. 국가별 메달 순위 (1921년 ~ 2023년)
이 표는 2023년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이후에 최종 업데이트되었다. 이 표는 1921년 이후 세계 선수권 대회 메달을 집계한 것이며, 하계 올림픽 펜싱 경기의 결과는 포함하지 않는다.이탈리아는 122개의 금메달, 112개의 은메달, 137개의 동메달을 획득하여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프랑스(97금, 98은, 98동)와 헝가리(96금, 87은, 95동)가 그 뒤를 이어 전통적인 펜싱 강국으로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소련은 92개의 금메달, 54개의 은메달, 47개의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대한민국은 금메달 11개, 은메달 12개, 동메달 27개로 종합 12위를 기록하고 있다.
순위 | 국가 | 금 | 은 | 동 | 합계 |
---|---|---|---|---|---|
1 | 이탈리아 | 122 | 112 | 137 | 371 |
2 | 프랑스 | 97 | 98 | 98 | 293 |
3 | 헝가리 | 96 | 87 | 95 | 278 |
4 | 소련 | 92 | 54 | 47 | 193 |
5 | 러시아 | 56 | 32 | 36 | 124 |
6 | 서독 | 25 | 26 | 16 | 67 |
7 | 독일 | 22 | 35 | 45 | 102 |
8 | 폴란드 | 18 | 29 | 42 | 89 |
9 | 루마니아 | 13 | 22 | 32 | 67 |
10 | 미국 | 12 | 16 | 18 | 46 |
11 | 우크라이나 | 12 | 12 | 20 | 44 |
12 | 대한민국 | 11 | 12 | 27 | 50 |
13 | 중국 | 8 | 20 | 17 | 45 |
14 | 스웨덴 | 7 | 15 | 21 | 43 |
15 | 쿠바 | 6 | 5 | 9 | 20 |
16 | 에스토니아 | 5 | 6 | 6 | 17 |
17 | 덴마크 | 5 | 3 | 4 | 12 |
18 | 오스트리아 | 4 | 4 | 9 | 17 |
19 | 일본 | 4 | 2 | 8 | 14 |
20 | 영국 | 3 | 6 | 9 | 18 |
21 | 네덜란드 | 3 | 3 | 6 | 12 |
22 | 스위스 | 2 | 9 | 13 | 24 |
23 | 벨기에 | 2 | 4 | 11 | 17 |
24 | 스페인 | 2 | 2 | 7 | 11 |
25 | 아제르바이잔 | 2 | 2 | 4 | 8 |
26 | 불가리아 | 1 | 3 | 5 | 9 |
27 | 체코슬로바키아 | 1 | 3 | 1 | 5 |
28 | 노르웨이 | 1 | 0 | 1 | 2 |
29 | 브라질 | 1 | 0 | 0 | 1 |
30 | 베네수엘라 | 0 | 2 | 1 | 3 |
31 | 그리스 | 0 | 1 | 3 | 4 |
31 | 튀니지 | 0 | 1 | 3 | 4 |
33 | 벨라루스 | 0 | 1 | 2 | 3 |
33 | 캐나다 | 0 | 1 | 2 | 3 |
33 | 동독 | 0 | 1 | 2 | 3 |
36 | 조지아 | 0 | 1 | 1 | 2 |
37 | 포르투갈 | 0 | 1 | 0 | 1 |
38 | 이집트 | 0 | 0 | 8 | 8 |
39 | 홍콩 | 0 | 0 | 4 | 4 |
40 | 독립국가연합 | 0 | 0 | 1 | 1 |
40 | 콜롬비아 | 0 | 0 | 1 | 1 |
40 | 핀란드 | 0 | 0 | 1 | 1 |
40 | 이란 | 0 | 0 | 1 | 1 |
40 | 카자흐스탄 | 0 | 0 | 1 | 1 |
5. 주요 선수
'''굵은 글씨'''는 현역 펜싱 선수와 모든 펜싱 선수 중 가장 많은 메달 수를 나타낸다. 괄호 안의 숫자는 1921년에서 1936년 사이에 열린 비공식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당시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획득한 메달 수이며, 전체 통계에 포함된다.
5. 1. 남자
5. 1. 1. 복합 메달리스트
순위 | 펜싱 선수 | 국가 | 종목 | 기간 (시작) | 기간 (종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알라다르 게레비치 | 헝가리 | 사브르 & 플뢰레 | 1931 | 1959 | 14 | 2 | 3 | 19 |
2 | 에도아르도 만자로티 | 이탈리아 | 에페 & 플뢰레 | 1937 | 1958 | 13 | 8 | 5 | 26 |
3 | 스타니슬라프 포즈드냐코프 | 러시아 | 사브르 | 1994 | 2007 | 10 | 5 | 2 | 17 |
4 | 블라디미르 나즐리모프 | 소련 | 사브르 | 1967 | 1979 | 10 | 3 | 2 | 15 |
5 | 알렉산드르 로만코프 | 소련 | 플뢰레 | 1974 | 1989 | 10 | 2 | 3 | 15 |
6 | 팔 코바치 | 헝가리 | 사브르 | 1933 | 1958 | 10 | 2 | – | 12 |
7 | 구스타보 마르치 | 이탈리아 왕국 | 플뢰레 & 사브르 | 1929 | 1938 | 9 | 11 | 1 | 21 |
8 | 게르만 스베시니코프 | 소련 | 플뢰레 | 1958 | 1969 | 9 | 2 | 1 | 12 |
9 | 줄리오 가우디니 | 이탈리아 왕국 | 플뢰레 & 사브르 | 1929 | 1938 | 8 | 7 | 2 | 17 |
10 | 크리스티앙 도리올라 | 프랑스 | 플뢰레 | 1947 | 1958 | 8 | 5 | – | 13 |
헝가리의 알라다르 게레비치는 금메달 14개(5개는 유럽 선수권 대회)로 최다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탈리아의 에도아르도 만자로티는 총 26개 메달 (금 13, 은 8, 동 5)로 최다 메달을 획득했다.
5. 1. 2. 개인전
스타니슬라프 포즈드냐코프(러시아)는 세계 펜싱 선수권 대회 개인전에서 금메달 5개를 획득하였다. 그는 사브르 종목에서 1994년부터 2007년까지 활동하며 금메달 5개, 은메달 3개를 획득하여 총 8개의 메달을 획득했다.순위 | 선수 | 국가 | 종목 | 기간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스타니슬라프 포즈드냐코프 | 러시아 | 사브르 | 1994-2007 | 5 | 3 | - | 8 |
5. 2. 여자
5. 2. 1. 복합
발렌티나 베찰리 (it)는 1994년부터 2016년까지 활동한 이탈리아의 펜싱 선수로, 플뢰레 종목에서 금메달 16개, 은메달 6개, 동메달 4개로 총 26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남녀를 통틀어 가장 많은 메달을 획득했다.순위 | 펜싱 선수 | 국가 | 종목 | 시작 | 종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
1 | 발렌티나 베찰리 | 이탈리아 | 플뢰레 | 1994 | 2016 | 16 | 6 | 4 | 26 |
2 | 일로나 엘렉 | 헝가리/Magyarországhu | 플뢰레 | 1933 | 1956 | 11 (5) | 5 (1) | 2 | 18 (6) |
3 | 아리아나 에리고 | 이탈리아 | 플뢰레 | 2009 | 2023 | 10 | 7 | 5 | 22 |
4 | 갈리나 고로호바 | 소련 | 플뢰레 | 1958 | 1971 | 9 | 6 | 1 | 16 |
5 | 알렉산드라 자벨리나 | 소련 | 플뢰레 | 1956 | 1971 | 9 | 6 | – | 15 |
6 | 조반나 트리니 | 이탈리아 | 플뢰레 | 1986 | 2007 | 9 | 5 | 6 | 20 |
7 | 발렌티나 시도로바 | 소련 | 플뢰레 | 1973 | 1986 | 9 | 2 | 1 | 12 |
8 | 소피야 벨리카야 | 러시아 | 사브르 | 2004 | 2019 | 8 | 5 | 3 | 16 |
9 | 마르기트 엘렉 | 헝가리/Magyarországhu | 플뢰레 | 1933 | 1956 | 8 (3) | 4 (2) | 1 | 13 (5) |
10 | 엘레나 벨로바 | 소련 | 플뢰레 | 1969 | 1979 | 8 | 4 | – | 12 |
5. 2. 2. 개인전
발렌티나 베찰리 (이탈리아, 플뢰레)는 개인전에서 금메달 6개를 획득하였다.
참조
[1]
서적
By the Sword
[2]
웹사이트
Fencing To Have Full Medal Count in Tokyo 2020 Olympics
https://www.fencing.[...]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펜싱 여자 사브르 전하영, 세계대학경기 대회 개인·단체전 2관왕
펜싱 여자 사브르 전하영, 김정미 꺾고 서울 그랑프리 우승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